군인들은 직무수행 또는 교육훈련 중 부상을 입은 경우도 많지만 체육활동 등으로 전역 후에도 후유증을 얻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국가유공자로 등록이 되기 위해서는 상이(질병 포함)와 직무수행 또는 교육훈련 간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국가유공자 등록 하기 위해서는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요?
국가유공자 등록 신청만 해서는 보훈심사위원회에서 알아서 심사해 주지 않습니다.
신청인 스스로가 부상과 직무수행 또는 교육훈련 간의 인과관계를 소명할 수 있는 입증자료들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부상과 직무수행 또는 교육훈련 간의 인과관계를 입증할 수 있는 병상일지, 소속기관장 확인서, 사건 발병 경위서 등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해야 하며 입증자료를 확보하였다면 그 다음에는 상이 발생과 직무수행 또는 교육훈련 간의 인과관계를 객관적이고 의학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단지 몇 장의 국가유공자 등록 신청서 양식만을 작성한다면 신청인의 부상과 직무수행 또는 교육훈련 간의 인과관계를 소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신청인에게 불리할 수 있으므로 별지를 첨부하여 부상 발생 경위 등을 구체적으로 작성해야 합니다.
군 복무 중에는 외과적 질환도 많이 발생하지만 근무 조건이나 환경에 따른 내과적 질환이 발생하는 경우도 상당합니다.
내과적 질환으로 국가유공자 등록 신청을 하는 경우 더욱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내과적 질환의 경우에는 유전적, 기질적 특징 때문에 질환이 발병한 것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가족력이나 기왕력이 없음을 신청인이 입증자료를 첨부하여 적극적으로 소명해야 합니다.
이 밖에도 군 복무 중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등 다양한 질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개별 사안에 따라 국가유공자 등록 신청 준비 방법은 달라집니다.
국가유공자 등록 신청은 처음 신청이 중요합니다.
국가유공자 자가 진단하기
저희 사무소에서는 상담을 통해 국가유공자 등록 가능성 여부를 진단해 드리고 개별 사안에 맞는 최선의 솔루션을 제시해 드리고 있습니다.
아래의 설문을 남겨 주시면 검토 후 빠른 시간 내에 연락드리겠습니다.
[국가유공자 자가진단]
나의 국가유공자 등록 성공 확률은 얼마나 될까요? 해당사항에 체크해 주세요.
docs.google.com
'국가유공자(보훈)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훈보상대상자에서 국가유공자로 변경 신청하기 (0) | 2021.02.03 |
---|---|
국가유공자로 등록될 수 있는 직무수행과 교육훈련은? (0) | 2021.02.01 |
국가유공자 등록 '요건 비해당' 처분을 받았어요. (0) | 2021.01.28 |
군 복무 중 발병한 추간판 탈출증, 국가유공자로 등록될 수 있을까요? (0) | 2021.01.26 |
국가유공자 등록 신청 혼자서 준비할 수 있을까? (0) | 2021.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