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업체에서 직접생산확인 증명서 발급 의뢰를 받아 처리한 사례입니다.
소프트웨어 관련 품목 '정보인프라 구축 서비스, 패키지 소프트웨어 개발 및 도입 서비스, 정보시스템 개발 서비스, 소프트웨어 유지 및 지원 서비스, 정보시스템 유지관리 서비스' 직접생산확인 증명서 발급을 완료하였습니다.
★ 귀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
8111179901 정보인프라 구축 서비스
8111159801 패키지 소프트웨어 개발 및 도입 서비스
8111159901 정보시스템 개발 서비스
8111229901 소프트웨어 유지 및 지원 서비스
8111189901 정보시스템 유지관리 서비스
소프트웨어 관련 직접생산확인은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자가 소프트웨어 사업자로 신고하고, 일정 규모의 개발 작업장과 컴퓨터 시설, 주변장치 및 관련 개발 툴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제품을 완성하는 것을 말합니다.
소프트웨어 관련 직접생산확인 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는데요. 아래에서 그 사항들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소프트웨어 관련 직접생산확인 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서 확인해야 할 사항은?
생산공장
사업자 등록되어 있어야 하며 사업장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사업장이 자가보유인 경우 건물 등기부 등본, 임차인 경우 임대차 계약서 및 임대료 납부 증빙자료가 있어야 합니다.
생산시설
프로그램 개발 및 개발언어를 구동할 수 있고 유·무선통신 기능, 문서작성이 가능한 개발용 컴퓨터 1대 이상이 있어야 합니다.
생산인력
대표자를 포함하여 상시근로자 중 소프트웨어 개발인력 1인 이상이 있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인력은 소프트웨어 기술자로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발급 1년 이상 경력자 또는 자격증을 소지하거나 관련학과를 졸업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 관련 직접생산확인 기준을 확인한 후 부합하는 서류들을 준비하셔서 직접생산확인 증명서 발급 신청을 진행해야 합니다.
소프트웨어 관련 직접생산확인 증명서 발급 기간은?
직접생산확인 증명서의 발급 기간은 실태조사 대상이 아닌 제품의 경우에는 주말 및 공휴일을 제외한 약 1주가 소요됩니다. 실태조사 대상인 제품의 경우에는 주말 및 공휴일을 제외하고 약 2주가 소요됩니다.
소프트웨어 관련 품목은 실태조사 대상이 아니므로 약 1주가 소요됩니다.
직접생산확인 증명서를 발급받으려는 사업주분들의 대부분은 어떤 서류를 준비해야 하는지 생산공정도는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등 잘 알지 못해서 답답해하시는데요.
저희 사무소에서는 직접생산확인 증명서 발급 절차의 어려움과 까다로움을 해결해드리고 있습니다.
관련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보라행정사사무소 - 네이버톡톡
보라 행정사사무소입니다. 항상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talk.naver.com
'직접생산확인증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생산확인 증명서 발급 절차는 어떻게 될까요? (0) | 2022.01.18 |
---|---|
[동영상제작서비스] 직접생산확인 증명서 발급 완료 (0) | 2022.01.15 |
직접생산확인 증명서 발급 신청 및 직접생산확인 기준 (0) | 2022.01.13 |
[정보시스템유지관리서비스] 소프트웨어 관련 직접생산확인 증명서 발급 사례 (0) | 2022.01.11 |
디자인 전문회사 신고 절차를 알고 싶습니다. (0) | 2022.01.10 |